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민연금 적립금 고갈은 언제, 국민연금 나의 예상수령액은 얼마일까?
    사회이슈 2023. 7. 31. 00:58

     

    목차

       

       

      국민연금은 사회보장제도로 어떤이에게는 오래사는것이 재앙이 되는 시대가 될 수 있는 사회가 되면 국가에게 기댈 수 밖에 없습니다

      국민연금의 적립금 고갈의 시대가 곧 들이 닥칠 것 처럼 언론에서 많은 이슈를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과연 언제부터 적립금이 고갈이 되며, 과연 나는 납부했던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이란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출산율은 저조함에 따라서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후를 준비할 여유가 없는 국민들에게 소득이 있을 때 보험료를 납부하다가 연금수령연령이 되었을 때, 기본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적립금 고갈은 언제일까?

       

      우리나라는 국민연금의 첫 적자를 내는 시기는 2019년 통계자료를 봤을때 2042년으로 예상이 된다고 합니다

      즉, 2041년도가 마지막 흑자가 되고 청년층이 내는 돈보다 노년층에게 줘야 할 돈이 많은 상황이 다가온다면 2057년이 되면 국민연금의 적립금이 고갈될걸로 예상이 됩니다

       

      현재처럼 계속 진행이 된다면 2057년 64세 이상 연령이 전체인구의 45%로 예상되어 국민연금을 받는 노인수와 납부하는 청년이 비슷해지게 됩니다

       

       

      연금개혁이 필요한 이유

       

      국민연금의 고갈되는 시기를 앞서 말했듯이 앞으로 출산률 저하와 고령화 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국민연금의 적립금이 고갈이 되면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상당수의 사람들은 오래 사는것이 재앙이 되는 비참한 현실을 맞이 하게 됩니다

      현재 한국은 아직 쌓아둔 돈이 남아있어서 여력이 있지만 언젠가는 고갈의 시대가 옵니다

       

      이와 같은 현실은 얼마전 프랑스도 적립된 국민연금의 고갈로 마크롱 대통령의 비상권한으로 시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민연금 더내고 덜받자의 내용으로 조항을 발동하였습니다

       

      한국도 정권이 바뀔때마다 연금개혁에 대한 부분은 항상 논의해왔지만 여론의 눈치를 보고 현실적으로 시도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실제 사례인 프랑스를 보았듯이 더이상 우리나라도 연금개혁에 대한 부분을 미룰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현 정부도 연금개혁에 대한 실직적인  내용을 논의하는지 관심을 가져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조기수령방법 알아보기

       

       

      국민연금은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은 가입대상이며, 최소 10년의 가입기간을 만료하였을때 수급 연령이 되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방법은 가입기간이 10년이상이고,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본인이 신청하여  지급개시연령보다 최대 5년 국민연금을 좀 더 빠르게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단, 유의해야 할점은 조기노령연금은 연금을 미리 받는 대신에 1년 일찍 받을 때마다 6%씩 연금수령액이 깍여서 5년을 일찍 받는다면 30%가 감액되어서 수령된다는 점입니다

       

       

       

      최근들어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뉴스가 많이 나오면서 국민연금을 납부하는 사람들에게 허탈감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이대로 간다면 앞으로 고갈의 시대가 오긴 하지만 현재로서는 이른 불안감인 듯 합니다

      앞으로의 연금개혁에 대한 정부정책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